| 1. 옥포해전 2. 합포해전 3. 적진포해전 4. 사천포해전 5. 당포해전 |
6. 당항포해전1 7. 율포해전 8. 한산도대첩 9. 안골포해전 10. 장림포해전 | 11. 부산포해전 12. 당항포해전2 13. 명량해전 14. 노량해전 |
| 조선함대 | 일본함대 | |
|---|---|---|
| 사령관 |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
알려지지 않음 |
| 전력 | 13척의 전선과 32척의 작은 선, 약 1500명의 수군 |
알려지지 않음 |
| 사상자 및 피해 | 알려지지 않음 | 30여척 파괴 |
1597년 7월 16일 삼도수군통제사가 된 원균은 칠천량전투에서 대패하고, 전투 후에 죽었다. 약 160여척에 달했던 조선 함대의 전선은 칠천량전투를 치르면서 거의 모두 격침되었다. 전투 중에 배설장군은 12척의 전선을 이끌고 전장을 빠져나왔다. 칠천량전투에서의 패배 이후에 조선 조정은 이순신 장군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하였다. 이에, 이순신 장군은 그의 휘하에 있던 장수와 수군들을 모아서 남하하였다. 8월 19일에 장군은 배설장군이 이끌고 나왔던 전선들을 회령포에서 인수하였고 군량미, 화살, 활 등을 모았다. 선조가 이순신 장군에게 수군으로 싸우지 말고 육군으로 싸우라 하였으나, 장군은 그의 유명한 말인, “신에게는 아직 열 두척의 전선이 남아있나이다”을 담아 선조에게 보내었다. 이순신 장군은 계속해서 수군의 기지를 서쪽으로 움직여갔다.